본문 바로가기
■호스피스 관련 정보

호스피스 병동에서 사용하는 장비는?

by trouth leader 2025. 3. 12.

1. 환자의 편안함을 위한 장비

말기암 환자와 중증 환자들은 신체적 고통을 줄이고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장비가 필요합니다.

(1) 전동 침대 및 특수 매트리스

  • 전동 침대: 환자가 편하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자동 조절 기능이 있는 침대.
  • 공기 압력 매트리스: 욕창(압박 궤양) 예방을 위한 특수 매트리스.

(2) 호흡 보조 장비

  • 산소 발생기: 호흡이 어려운 환자를 위한 산소 공급 장치.
  • 네블라이저(흡입기): 기관지 분비물을 줄이고 호흡을 도와주는 장비.
  • 기침 유발기: 가래 배출이 어려운 환자를 위한 기기.

(3) 통증 조절 및 관리 장비

  • PCA(자가 통증 조절 장치, Patient-Controlled Analgesia): 환자가 직접 일정량의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는 장비.
  • 냉·온 찜질기: 근육통과 부종 완화를 위한 보조 장비

2. 의료진의 환자 관리 및 응급 대응 장비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 다음 장비가 필요합니다.

(1) 모니터링 장비

  • 심전도 모니터(EKG/ECG): 심장 기능을 지속적으로 감시.
  • 산소포화도 측정기(펄스 옥시미터): 환자의 산소 농도 체크.
  • 비접촉 체온계: 빠르고 위생적인 체온 측정을 위한 필수 장비.
  • 혈압계: 환자의 혈압 체크 및 조절.

(2) 흡인기(Suction Machine)

  • 가래, 점액 등을 제거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장비.

(3) 응급 대응 장비

  • 제세동기(AED, 자동심장충격기): 응급 심정지 상황 대응.
  • 응급 카트(Crash Cart): 응급약, 기관 삽관 키트 등 긴급 처치를 위한 필수 장비.

3. 일상생활 지원 및 위생 관리 장비

환자의 위생과 기본적인 생활을 돕기 위한 장비들도 매우 중요합니다.

(1) 배변 및 위생 관리 장비

  • 이동형 변기(포터블 화장실): 침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기.
  • 방수 패드(방수 시트): 침대 오염 방지.
  • 위생 세정기(환자용 샤워기, 물티슈, 세정 스프레이 등): 몸을 제대로 씻을 수 없는 환자를 위한 위생 관리 용품.
  • 흡수패드(기저귀, 요실금 패드): 배변 조절이 어려운 환자를 위한 필수 용품.

(2) 이동 및 체위 변경 보조 장비

  • 환자 이송용 휠체어
  • 전동 리프트(환자 이동용 리프트):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길 때 필요한 장비.
  • 체위 변경용 쿠션 및 베개: 신체 부담을 줄이고 욕창을 예방.

(3) 영양 공급 및 섭취 보조 장비

  • 경관 영양 펌프(NG Tube, PEG 튜브 포함):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를 위한 영양 공급 장비.
  • 수액 폴대(IV 폴): 수액 및 영양 공급을 위한 거치대.

4. 정서적 지원 및 편안한 환경을 위한 장비

말기 환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편안함을 고려한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

(1) 음악 및 영상 재생 장비

  • TV 및 태블릿: 환자가 좋아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지원.
  • 백색 소음기, 편안한 음악 플레이어: 숙면을 돕거나 긴장을 완화하는 효과.

(2) 아로마 테라피 및 조명 장비

  • 간접 조명(무드등, 수면등): 편안한 분위기 조성을 위한 조명.
  • 아로마 디퓨저: 스트레스 완화 및 환자의 기분 개선.

5. 보호자 및 방문객을 위한 편의 장비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와 방문객도 편하게 머물 수 있도록 편의 시설이 필요합니다.

(1) 보호자 침대 및 리클라이너

  • 보호자가 병실에서 함께 머물 수 있도록 배치.

(2) 온수 정수기 및 간단한 조리 공간

  • 차나 커피를 준비할 수 있도록 배치.

6. 결론

호스피스 병동은 단순한 치료 공간이 아니라, 환자가 마지막 순간까지 편안하고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곳이며 이를 위해 전동 침대, 통증 조절 장비, 호흡 보조 장비 등 의료 장비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을 위한 음악 장비, 무드 조명, 편안한 가구 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환자의 존엄을 지키면서도 효율적인 돌봄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